강용수 작가가 펴낸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철학 교양서가 전 서점 종합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는 철학 교양서로서 최초라는 점에서 많은 독자들의 시선을 잡고 있다. 현재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원으로 강의를 하고 있는 강용수 작가는 쇼펜하우어의 지혜들을 가장 정확히 해석하고 가장 탁월하게 40대의 삶과 연결해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에 담아냈다. 책에서 쇼펜하우어의 40대 이야기와 지혜로운 말들을 만날 수 있다.
연령을 키워드로 한 인문 교양 도서들이 출판되고 있다. 많은 독자는 사람이 나이 들며 겪는 환경과 감정에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한 지혜를 책에서 찾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철학과 함께 풀고 있다. 특히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가 일으킨 ‘쇼펜하우어 신드롬’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생각과 말이라면 시대와 상관없이 통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더 반가운 점은 독서의 즐거움을 아는 40대와 50대가 개인의 독서를 넘어 SNS, 유튜브에 글귀와 자기 생각을 공유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독서 경험이 20대와 30대, 60대와 70대의 다른 세대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 중심에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가 있다.
“산다는 것은 괴로운 것이다”, “오늘은 단 한 번뿐이다”, “우리의 모든 불행은 혼자 있을 수 없어서 생긴다” 등의 명언을 남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인생이 고통이라면 삶의 기준을 타인에게서 자신으로 옮기는 ‘진짜 행복’을 위한 고통을 겪으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새로운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자기 자신을 긍정하는 마음, 타인에게 비굴하지 않는 당당함, 스스로의 힘으로 살 수 있는 품격이다.
강용수는 작가는 “가장 열정적으로 살아가는 인생의 황금기이자 ‘인생은 고통’이라는 인식에 다다르는 마흔, 또는 마흔을 앞두었거나 되돌아보는 나이라면 쇼펜하우어를 만나 보라”며 “인생의 고민을 떨치고 마음을 다스리는 통찰력과 행복의 열쇠를 손에 쥘 수 있다”라고 말했다.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는 오늘날 저출산, 고독, 높은 자살률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바지하며, 현재 중국, 대만, 베트남에 이어 철학 교양서로는 드물게 일본 출판을 앞두고 있다.
계좌번호 복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