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속초9.3℃
  • 맑음10.5℃
  • 맑음철원11.0℃
  • 맑음동두천12.1℃
  • 맑음파주10.8℃
  • 맑음대관령2.9℃
  • 맑음춘천11.3℃
  • 맑음백령도9.1℃
  • 맑음북강릉8.5℃
  • 맑음강릉10.5℃
  • 맑음동해9.6℃
  • 맑음서울14.0℃
  • 맑음인천12.7℃
  • 맑음원주12.8℃
  • 흐림울릉도12.1℃
  • 맑음수원10.9℃
  • 맑음영월9.5℃
  • 맑음충주10.2℃
  • 맑음서산9.3℃
  • 구름조금울진11.7℃
  • 맑음청주13.6℃
  • 맑음대전12.1℃
  • 맑음추풍령8.8℃
  • 맑음안동12.6℃
  • 맑음상주11.1℃
  • 구름많음포항12.2℃
  • 맑음군산11.1℃
  • 맑음대구11.1℃
  • 맑음전주12.5℃
  • 맑음울산10.1℃
  • 흐림창원12.2℃
  • 맑음광주11.8℃
  • 맑음부산11.4℃
  • 흐림통영11.9℃
  • 구름조금목포12.0℃
  • 맑음여수12.6℃
  • 맑음흑산도10.4℃
  • 맑음완도11.5℃
  • 맑음고창8.6℃
  • 맑음순천9.2℃
  • 맑음홍성(예)10.6℃
  • 맑음11.8℃
  • 구름많음제주12.2℃
  • 맑음고산12.7℃
  • 맑음성산12.5℃
  • 맑음서귀포14.6℃
  • 맑음진주9.6℃
  • 맑음강화13.5℃
  • 맑음양평13.7℃
  • 맑음이천13.2℃
  • 맑음인제8.7℃
  • 맑음홍천10.9℃
  • 맑음태백6.2℃
  • 맑음정선군7.4℃
  • 맑음제천9.0℃
  • 맑음보은8.8℃
  • 맑음천안11.3℃
  • 맑음보령9.3℃
  • 맑음부여9.9℃
  • 맑음금산9.2℃
  • 맑음11.1℃
  • 맑음부안11.0℃
  • 맑음임실9.8℃
  • 맑음정읍10.1℃
  • 맑음남원9.7℃
  • 맑음장수7.8℃
  • 맑음고창군9.5℃
  • 맑음영광군9.5℃
  • 맑음김해시11.2℃
  • 맑음순창군10.0℃
  • 흐림북창원12.8℃
  • 맑음양산시11.1℃
  • 맑음보성군10.8℃
  • 맑음강진군9.6℃
  • 맑음장흥9.6℃
  • 맑음해남11.6℃
  • 맑음고흥9.8℃
  • 맑음의령군10.4℃
  • 맑음함양군8.7℃
  • 맑음광양시10.9℃
  • 맑음진도군11.2℃
  • 맑음봉화8.2℃
  • 맑음영주11.2℃
  • 맑음문경9.7℃
  • 맑음청송군9.1℃
  • 흐림영덕10.6℃
  • 맑음의성11.2℃
  • 구름조금구미11.2℃
  • 맑음영천10.3℃
  • 맑음경주시9.5℃
  • 맑음거창8.8℃
  • 맑음합천10.6℃
  • 구름조금밀양11.2℃
  • 맑음산청9.4℃
  • 흐림거제12.0℃
  • 맑음남해11.3℃
  • 맑음11.0℃
[황미정 칼럼] 벚꽃을 ‘본다’는 것의 의미 – 시각장애인의 감각을 넘어선 경험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토게시판

[황미정 칼럼] 벚꽃을 ‘본다’는 것의 의미 – 시각장애인의 감각을 넘어선 경험

봄이 되면 거리 곳곳이 벚꽃으로 물든다. 사람들은 꽃길을 걸으며 활짝 핀 벚꽃을 감상하고, 사진을 찍고, 봄의 정취를 만끽한다. 하지만 벚꽃을 ‘본다’는 것은 과연 어떤 의미일까?


최근 한 교육에서 후천적 시각장애를 가진 한 교육생이 말했다.

"강사님~, 저는 요즘 길을 보면 양쪽으로 흰색만 보여요."


벚꽃이 만개한 거리에서 그녀는 흐릿한 시야 속에서도 온통 하얀 세상이 펼쳐지는 듯한 경험을 했다. 예전처럼 선명한 분홍빛을 볼 수는 없지만, 마음으로는 벚꽃을 알고 있다고 했다. 기억 속의 벚꽃이 여전히 그녀와 함께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선천적으로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벚꽃을 어떻게 경험할까? 그들은 손끝으로 꽃잎을 느끼고, 바람에 실려 오는 향을 맡으며, 꽃잎이 흩날리는 소리를 듣는다. 우리는 주로 시각을 통해 벚꽃을 감상하지만, 그들은 촉각, 후각, 청각을 통해 벚꽃을 경험한다.

 

이는 장애학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우리는 흔히 ‘보는 것’을 시각적인 경험으로 한정하지만, 사실 감각적 경험은 다층적이며, 개인의 신체적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장애학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결핍’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경험으로 바라본다. 즉, 벚꽃을 감상하는 방법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그 방법들은 각각의 삶의 방식과 연결된다.


장애를 바라보는 사회적 모델에서는 장애가 개인의 결함이 아니라,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고 본다. 우리가 벚꽃을 감상하는 방식을 ‘시각 중심’으로 한정할 때, 그것은 장애를 신체적 한계로만 바라보는 사고방식과 연결된다. 하지만 벚꽃을 느끼는 다양한 방식이 인정될 때, 우리는 장애를 차이가 아닌 하나의 ‘다른 경험’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벚꽃은 눈으로만 보는 게 아니라, 마음으로도 볼 수 있어요. 우리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벚꽃을 보고 있는 거죠."


우리는 장애를 ‘결핍’이 아니라, 감각과 경험의 차이로 바라볼 수 있을까? 벚꽃을 경험하는 다양한 방식처럼,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 그것이 장애학적 사고의 출발점이 아닐까.


칼럼.jp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