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구름많음속초17.4℃
  • 구름많음25.4℃
  • 구름조금철원25.0℃
  • 맑음동두천25.5℃
  • 맑음파주25.2℃
  • 구름많음대관령21.9℃
  • 구름조금춘천25.2℃
  • 맑음백령도15.2℃
  • 구름많음북강릉27.0℃
  • 구름많음강릉26.8℃
  • 구름많음동해23.5℃
  • 맑음서울25.5℃
  • 맑음인천23.2℃
  • 맑음원주25.8℃
  • 맑음울릉도18.6℃
  • 맑음수원25.3℃
  • 구름조금영월26.6℃
  • 구름조금충주27.0℃
  • 맑음서산22.0℃
  • 구름조금울진17.9℃
  • 맑음청주26.7℃
  • 맑음대전27.6℃
  • 맑음추풍령27.1℃
  • 맑음안동26.7℃
  • 맑음상주27.6℃
  • 맑음포항27.8℃
  • 맑음군산24.4℃
  • 맑음대구28.0℃
  • 맑음전주27.2℃
  • 맑음울산23.8℃
  • 맑음창원23.6℃
  • 맑음광주26.6℃
  • 구름조금부산19.5℃
  • 맑음통영19.0℃
  • 맑음목포22.6℃
  • 맑음여수20.0℃
  • 맑음흑산도20.7℃
  • 맑음완도23.7℃
  • 맑음고창25.4℃
  • 맑음순천23.2℃
  • 맑음홍성(예)24.1℃
  • 맑음26.3℃
  • 맑음제주19.1℃
  • 구름조금고산18.2℃
  • 구름조금성산20.1℃
  • 구름조금서귀포20.6℃
  • 맑음진주22.9℃
  • 맑음강화22.9℃
  • 맑음양평25.0℃
  • 맑음이천26.0℃
  • 구름많음인제23.3℃
  • 구름조금홍천25.5℃
  • 맑음태백24.8℃
  • 구름조금정선군25.3℃
  • 구름조금제천24.4℃
  • 맑음보은25.4℃
  • 맑음천안25.4℃
  • 맑음보령22.9℃
  • 맑음부여26.6℃
  • 맑음금산27.5℃
  • 맑음25.7℃
  • 맑음부안26.5℃
  • 맑음임실26.4℃
  • 맑음정읍26.9℃
  • 맑음남원26.4℃
  • 맑음장수25.0℃
  • 맑음고창군26.7℃
  • 맑음영광군24.9℃
  • 맑음김해시23.3℃
  • 맑음순창군26.3℃
  • 맑음북창원25.3℃
  • 맑음양산시24.6℃
  • 맑음보성군22.5℃
  • 맑음강진군23.2℃
  • 맑음장흥21.3℃
  • 맑음해남24.0℃
  • 맑음고흥23.5℃
  • 맑음의령군27.1℃
  • 맑음함양군26.9℃
  • 맑음광양시23.8℃
  • 맑음진도군20.8℃
  • 맑음봉화25.0℃
  • 맑음영주25.7℃
  • 맑음문경26.9℃
  • 맑음청송군27.5℃
  • 맑음영덕22.8℃
  • 맑음의성27.6℃
  • 맑음구미27.6℃
  • 맑음영천28.1℃
  • 맑음경주시28.7℃
  • 맑음거창26.4℃
  • 맑음합천26.9℃
  • 맑음밀양27.6℃
  • 맑음산청25.8℃
  • 맑음거제20.8℃
  • 맑음남해22.0℃
  • 맑음23.0℃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동체를 향해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합뉴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동체를 향해

장애인 의무고용률 3.8% 시대, 여전히 법정 기준 미달 기업 다수...
장애인 고용은 복지를 넘어 사회적 가치 실현이자 투자


0101.PNG

 

   기고올해로 45회를 맞은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은 우리 사회 장애인 고용의 현주소를 점검하는 계기가 된다. 정부가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3.4%에서 3.6%, 올해 3.8%까지 단계적으로 높여왔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과 기관이 법정 기준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그만큼 장애인 고용은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러나 단순히 장애인 고용 인원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장애인 고용의 질도 함께 높여야 한다. 장애인 각자의 역량과 특성에 맞는 적합한 직무를 개발·배치하고, 모든 구성원이 장애에 대한 감수성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아울러 휠체어 접근이 용이한 시설 확충이나 정보 접근성 향상처럼 유니버설 디자인을 일터 전반에 도입해 장애인이 일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장애인 고용은 더 이상 복지 차원의 시혜가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의미 있는 일이다. 기업 입장에서도 장애인 고용은 다양한 인재를 확보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투자다. 장애인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게 되면 그 가족까지 삶의 질이 향상되어, 우리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도 이바지하게 된다. 특히 공공부문부터 이러한 변화에 앞장서야 한다.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솔선수범하여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준수하고, 민간에도 모범을 보여야 한다. 또한 전 직원 대상 실효성있는 장애 인식개선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장애 친화적 업무 환경을 갖추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함께 일하는 문화를 정착하려면 우리 사회의 폭넓은 공감과 지지가 뒷받침돼야 한다. 장애인의 날을 맞아 장애인 고용의 중요성에 대한 범국민적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포용 공동체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할 때다.

 

한국장애인식개선교육강사협회 이사 원종일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