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 맑음속초12.7℃
  • 맑음11.3℃
  • 맑음철원10.6℃
  • 맑음동두천12.1℃
  • 맑음파주13.4℃
  • 맑음대관령4.5℃
  • 맑음춘천13.2℃
  • 맑음백령도15.3℃
  • 맑음북강릉12.3℃
  • 맑음강릉12.5℃
  • 맑음동해12.3℃
  • 맑음서울16.0℃
  • 맑음인천16.2℃
  • 맑음원주14.1℃
  • 구름많음울릉도14.6℃
  • 맑음수원13.7℃
  • 맑음영월12.8℃
  • 맑음충주15.1℃
  • 맑음서산13.9℃
  • 구름조금울진12.4℃
  • 맑음청주16.1℃
  • 맑음대전14.2℃
  • 맑음추풍령12.7℃
  • 구름조금안동14.1℃
  • 구름조금상주13.0℃
  • 구름많음포항16.2℃
  • 맑음군산13.5℃
  • 구름조금대구16.1℃
  • 맑음전주14.5℃
  • 구름많음울산15.6℃
  • 맑음창원15.7℃
  • 맑음광주15.5℃
  • 구름조금부산16.6℃
  • 맑음통영15.8℃
  • 박무목포16.0℃
  • 맑음여수17.0℃
  • 구름조금흑산도17.2℃
  • 맑음완도14.5℃
  • 맑음고창13.3℃
  • 맑음순천8.8℃
  • 맑음홍성(예)14.2℃
  • 맑음12.5℃
  • 구름많음제주17.9℃
  • 맑음고산18.3℃
  • 구름많음성산18.6℃
  • 구름많음서귀포20.3℃
  • 맑음진주13.7℃
  • 맑음강화13.7℃
  • 맑음양평13.7℃
  • 맑음이천13.6℃
  • 맑음인제11.4℃
  • 맑음홍천11.6℃
  • 맑음태백8.9℃
  • 구름많음정선군10.7℃
  • 맑음제천13.3℃
  • 맑음보은11.4℃
  • 맑음천안11.7℃
  • 맑음보령13.8℃
  • 맑음부여11.8℃
  • 맑음금산11.0℃
  • 맑음13.3℃
  • 맑음부안14.3℃
  • 맑음임실10.2℃
  • 맑음정읍12.3℃
  • 맑음남원12.3℃
  • 맑음장수8.8℃
  • 맑음고창군11.8℃
  • 맑음영광군13.2℃
  • 구름많음김해시16.3℃
  • 맑음순창군11.1℃
  • 맑음북창원16.3℃
  • 맑음양산시17.2℃
  • 맑음보성군14.2℃
  • 맑음강진군13.3℃
  • 맑음장흥12.0℃
  • 맑음해남13.1℃
  • 맑음고흥12.5℃
  • 맑음의령군13.7℃
  • 맑음함양군10.8℃
  • 맑음광양시15.1℃
  • 맑음진도군12.8℃
  • 맑음봉화13.8℃
  • 맑음영주14.7℃
  • 구름조금문경12.1℃
  • 구름조금청송군13.5℃
  • 구름조금영덕13.8℃
  • 구름조금의성14.3℃
  • 구름조금구미15.7℃
  • 구름많음영천15.2℃
  • 구름많음경주시15.9℃
  • 맑음거창11.2℃
  • 맑음합천13.7℃
  • 맑음밀양15.9℃
  • 맑음산청12.4℃
  • 맑음거제15.6℃
  • 맑음남해15.8℃
  • 맑음15.8℃
독립기념관, 화사(華史) 이관구(李觀求) 선생 관련 자료 공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독립기념관, 화사(華史) 이관구(李觀求) 선생 관련 자료 공개

원본자료 최초 공개『독립정신』등 5점

8.독립기념관-이관구 선생.사진..jpg

 

독립기념관(관장 한시준)은 최근 독립운동가 화사(華史) 이관구(李觀求, 1885~1953)의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여 공개했다.저명한 의병장 유인석(柳麟錫)의 제자인 이관구는 스승의 유지를 이어받아 독립운동에 헌신, 1910년대 국내 최대의 독립군 단체이자 대표적인 비밀결사조직인 광복회(光復會)에 참여하여 황해도 지부장을 맡아 군자금 모집·밀정 색출·변절자 처단 등 활발한 독립운동을 전개한 인물이었다. 19188월 일제에게 체포되어 5년의 옥고를 치렀고, 출옥 후 일제와 타협을 거부하고 은거와 방랑을 반복하며 암울한 식민지 시기를 견디어냈다.

해방 후 그는 역사 연구에 뜻을 품고 사학연구협회를 조직하여 의친왕 이강(李堈)의 별장에서 역사를 연구하며 많은 저술을 남겼다. 이관구는 독립운동가·서예가·저술가로 유명하며, 여기에 중점적으로 소개되는 자료는 대부분 이관구가 직접 저술하거나 편집한 자료들로 원본이 대중에 처음 공개되는 것이며,이번에 공개되는 자료는 이관구의 사상과 현실인식을 보여주는 신대학(新大學), 이색적인 역사소설홍경래전(洪景來傳), 자서전적인 성격을 가진 언행록(言行錄), 해방 이후 이관구의 활동을 보여주는 추대장·임명장과 일부 독립운동가의 유묵이 포함된 광복의용기(光復義勇記), 이관구의 교유 관계와 활동 등을 잘 알려주는 독립정신(獨立精神)이다

하나하나가 소중한 자료이지만, 그 중에서독립정신(獨立精神)은 이관구가 평소 간직하던 독립운동가의 유묵과 해방 후 환국한 임시정부 요인 등에게 직접 받은 친필 등을 중심으로 모아 편집한 자료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즉 안창호·김구·이승만·이시영·신익희·김규식·김병로·김붕준 등 20여 명의 공개되지 않던 친필 유묵이 수록되어 있으며, 대부분 임시정부 요인들이다. 한 개인이 일정한 목적과 기준을 가지고 독립운동가들의 친필을 직접 받아서 편집한 경우는 매운 드문 사례이다.

 19458월 해방이 되었으나 정작 임시정부는 인정받지 못한 미군정의 시대 분위기를 반영한 듯, 신익희는 獨立尙未成功 吾等仍須努力(독립은 여전히 성공하지 못 하였으니 우리들은 마땅히 노력해야 한다.)”이라는 글을 써 주었다. 김규식도 眞心誠意 建國完成(진심과 성의로 건국을 완성하자)”이라는 글을 작성하여 준 것도 진정한 통일국가를 건설하는 것이 독립의 완성이라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친필 유묵에는 작성자가 당시 사용했던 도장이 찍혀 있으며, 따라서독립정신(獨立精神)의 진정한 가치는 시대적 맥락에 담긴 유묵의 뜻에 있다고 할 것이다. 남북으로 분단된 현실을 극복하고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통일민족국가를 이루는 것이 진정한 독립을 완성하는 일이라고 독립정신(獨立精神)은 말하고 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