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인천사서원, 지역사회 통합돌봄 본격 시작

기사입력 2021.11.02 09:32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이 최근 동구에서 진행한 지역사회 통합돌봄 컨설팅에서 ‘인천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모델 개발 연구’를 맡은 서윤정 연구위원이 강연을 하고 있다.

     

    인천형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기틀을 다진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인천시와 함께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지역사회 통합돌봄 체계 마련에 나설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먼저 인천시는 이달 중 ‘지역사회 통합돌봄 시범사업’에 참여할 군·구 3곳을 모집한다. 사업 기간은 내년 1월~12월 1년이다. 인천시와 군·구 매칭 사업으로 전체 예산은 3억 원이다. 참여 지자체는 노인, 장애인, 정신질환자, 아동 등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대상으로 지역 단위 사업을 계획한다. 올해 인천사서원이 진행한 ‘인천시 지역사회통합돌봄 모델 개발 연구’에서 제안한 우선정책대상자를 참고하면 된다.

    시는 계획의 적절성, 실현가능성, 구체성, 욕구반영도, 주민참여·민관협력 정도, 예산의 적정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고 최종 지역을 뽑는다. 지난 10월 인천사서원이 통합돌봄 컨설팅을 진행한 동·부평·남동구는 가점을 부여한다.

    우선정책대상자는 노인은 장기요양보험 등급자나 등급탈락자, 의료기관 퇴원환자, 만성질환자, 55세 이상 고위험군 등이다. 장애인은 탈시설하거나 거주 시설 입소 대기자, 재가 장애인, 아동은 학대, 다문화가정 아동, 발달장애 아동이다.

    이어 인천사서원은 내년 초 인천시와 함께 역량 강화 심화 컨설팅을 운영한다. 군·구 기초자료를 분석해 계획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 군·구 사회복지 자원을 연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 조직 개편 방향과 인력 확보 방안도 컨설팅한다.

    오는 19일에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추진 시민지원단을 발족하고 26일에는 ‘인천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모델 개발 연구’ 최종 보고회를 연다.

    한편 최근 동·부평·남동구를 대상으로 진행했던 통합돌봄 컨설팅에서는 새로운 복지 체계 도입을 앞두고 다양한 질문이 이어졌다. 최근 동구청에서 진행한 컨설팅에서 동구장애인주간보호센터 한 관계자는 “동구에 사는 한 노인, 장애인 자녀 가구는 지원받을 마땅한 제도가 없다는 이유로 주말에 자녀만 남겨둔 채 보호자가 병원을 다녀와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며 “우리 기관 종사자들이 돌아가며 주말 내내 이들을 돌봤다. 민-관 네트워크가 작동했다면, 지역사회 통합돌봄 시스템이 자리를 잡았다면 아마 걱정 없이 병원 치료를 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고 말했다.

    황선우 동구노인복지관 부장은 “지역사회 통합돌봄이 무엇인지 궁금하다. 동구와 같이 임대주택이 없는 지역에 사는 노인들은 동네를 개발한다고 하면 주거지를 떠나 멀리 다른 구로 이사를 가야한다”며 “이렇게 주거지를 떠나는 노인은 어떻게 지원할 수 있나”고 말했다.

    컨설팅을 맡은 김지영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실장은 “통합돌봄은 ‘맞춤돌봄’과 같은 사업 이름이 아니라 사는 곳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회복지 체계다”며 “어디로 가든 돌봄욕구가 있는 분이라면, 행정복지센터와 연계해 내가 사는 곳에서 공공자원뿐만 아니라 민간 자원도 연계해 지원받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살던 곳에서 대상자 중심의 서비스를 지역사회가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보건복지부는 2018년 ‘커뮤니티케어추진단’을 신설하고 2026년까지 전국에 이를 보편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인천시 역시 올해 초 ‘인천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통합돌봄 체계 구체화에 앞서 인천사서원과 연구, 컨설팅, 시민참여단 발족 등을 추진 중이다.
    backward top home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