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정문술 회장 > 세상엔 아직 그의 감동적인 발표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기사입력 2023.02.20 15:54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정문술 회장

    세상엔 아직 그의 감동적인 발표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2000년 ‘전 재산 사회 환원’이란 뜻을 밝히고 이듬해 맨손으로 일군 반도체 기업 마저 전문 경영인에게 넘긴  '정문술' 미래산업 창업주 말입니다.

     

    나이 62세. 경영자로는 경륜이 한창 무르익을 때입니다. 이를 두고 언론은 아름다운 퇴진이라고 반겼지만 정작 그는 “얼른 줘버리고 남은 여생을 편히 살겠다.” 라며 인터뷰 요청조차 손사래를 쳤지요.

     

    물러난 사람이 나서는 건 "노추”라 했고, 여기저기 얼굴 내미는 일은 "노욕"이라고 했어요. 그는 젊은 벤처 기업가들의 롤모델이었고, ‘대부’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그가 1983년 세운 미래 산업은 반도체 검사장비 업체로 출발했습니다.

     

    때 마침 전 세계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국 반도체 설비업체 중 독보적인 존재로 성장할 때입니다. 국내기업 최초로 미국 나스닥에 상장될 만큼 성장세를 타던 시기에 은퇴를 결행한 것도 주위를 놀라게 한 점입 니다. 경영권을 물려주면서 직원들에게 ‘착한 기업을 만들어 달라’는 당부를 잊지 않았습니다. 

     

    세상을 더 놀라게 한건 재산 기부입니다. 2001년 300억원이란 거금을 KAIST에 기부해 큰 화제를 부르더니 3년 후 다시 215억원의 재산을 같은 곳에 내 놓아 '정문술'의 이미지를 굳혔지요.

     

    개인이 한 기부로는 역대 최고액이었지만 그가 내건 조건은 딱 하나었습니다. “기부용도 외에는 쓰지 말 것.” 단 얼마라도 용도를 바꿔 사용하면 즉각 회수하겠다는 조건을 달았다고 해요.

     

    KAIST는 뜻에 따라 정보기술(IT)과 생명공학(BT)의 융합학문과 미래학 연구기관을 설립합니다. 정문술 빌딩과 부인 이름의 양분순 빌딩을 짓고, 국내 처음으로 미래전략 대학원을 만들어 연구 요람으로 삼았지요.

     

    그는 또 거액의 기부금 집행을 KAIST 이광형 교수가 주도해 줄 것을 학교에 요청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 큰 돈을 한 사람에게 맡긴다는 것이 납득하기 어려웠어요. 

     

    그러자 이렇게 설명합니다

    “내게 베푼 은혜가 있습니다. 연구개발이 뜻대로 안 돼 사업 부진으로 경영에 큰 고통을 겪고 있을 때였어요. 특별한 인연도 없는 이 교수가 날 찾아와 우리 회사에 첨단기술을 전수해 주었습니다.


    말로 할 수 없는 은혜를 입었으니 내가 일생 동안 잊을 수 없었다고 했습니다. 때가 되면 어떻게 하든 이 은혜를 갚겠다고 늘 마음에 새겨 왔다." 고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사람들이 궁금증을 풀자 또 다른 궁금함이 들었어요. 이번에는 '이광형'교수를 찾아가 물었습니다. “무슨 연유로 그 회사를 찾아가 그 수준높은 기술을 조건 없이 전수해 주었습니까?”

     

    그러자 이 교수가 이런 답을 내놓았어요. 
    “전 국가 장학금으로 선진국 유학을 했습니다. 국가가 저를 과학기술인으로 만들어 준 셈이죠. 제가 은혜를 입었으니 국가 발전에 보답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정문술 회장, 카이스트, 이광형 교수가 삼각 고리가 되어 설립한 정문술빌딩은 첨단의 IT+BT 융합기술 개발을 통해 차세대 먹거리를 찾는 연구 메카로 자리를 잡습니다.

     

    '정문술'은 오랜 공직 생활 중 쫓겨나 43세에 퇴직금으로 시작한 사업이 실패하고 와신상담 끝에 다시 도전하여 미래산업을 창업했습니다. 무수한 난관과 시련이 잇따랐지만 굴하지 않았습니다. 

     

    끝까지 신념을 잃지 않고 밀고 나가 자신과의 약속을 실천했습니다. 사업가로서 후회 없는 삶을 살았으니, 이제 내가 설 자리가 어딘지를 살핀 겁니다. 하차할 타이밍과 서야할 자리를 찾은 것입니다.

     

    많은 사람이 기부를 하지만 정문술의 기부가 눈길을 끄는 건 ‘기부는 기부로 끝!’ 이라는 소신 때문입니다. 학교 행사 초청은 물론 정문술 빌딩 준공식에 조차 얼굴을 내밀지 않았으니까요.

     

    “국민을 먹여 살릴만한 연구 성과가 나올 때까지 부르지 말라!”고 버티던 그가 빌딩 준공 6년 만에 학교로 연구 현장을 처음 찾습니다. 연구팀의 괄목할 연구 성과 소식을 듣고서 말입니다...

     

    말은 쉬워도 사실 받은 만큼 베푼다는 건 쉽지 않은 일입니다. 아무리 성실하게 이타적인 삶을 사는 사람이라도 쌓은 부의 절반만 내놓으면 훌륭한 사회 환원일 것입니다.

     

    그런데 백 가지 은혜를 입고 그 이상 몇십 몇백 배로 세상에 갚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이런 사람들에 의해 세상은 빛나고 살맛나는 사회가 만들어집니다. 이 글에 딱 어울리는 촌철살인의 명언을 영국의 낭만파 시인 '바이런'이 남겼습니다.

     

    "남에게 베푼 것은 잊고 받은 은혜는 반드시 기억하라."

    backward top home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