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구름조금속초27.0℃
  • 맑음31.9℃
  • 맑음철원31.0℃
  • 맑음동두천31.2℃
  • 맑음파주31.2℃
  • 맑음대관령26.0℃
  • 맑음춘천32.0℃
  • 맑음백령도27.8℃
  • 맑음북강릉28.5℃
  • 맑음강릉29.9℃
  • 맑음동해25.5℃
  • 맑음서울32.3℃
  • 맑음인천28.2℃
  • 맑음원주29.9℃
  • 구름많음울릉도26.3℃
  • 구름조금수원30.1℃
  • 맑음영월31.5℃
  • 맑음충주30.2℃
  • 맑음서산29.9℃
  • 맑음울진22.6℃
  • 맑음청주31.1℃
  • 맑음대전30.4℃
  • 맑음추풍령30.7℃
  • 맑음안동31.2℃
  • 맑음상주32.5℃
  • 맑음포항29.0℃
  • 맑음군산29.1℃
  • 구름조금대구31.7℃
  • 맑음전주30.7℃
  • 맑음울산27.4℃
  • 구름조금창원27.7℃
  • 구름많음광주29.2℃
  • 구름조금부산26.3℃
  • 구름많음통영25.3℃
  • 구름많음목포29.0℃
  • 구름조금여수26.5℃
  • 구름많음흑산도26.6℃
  • 구름많음완도29.5℃
  • 구름조금고창30.0℃
  • 구름많음순천28.0℃
  • 맑음홍성(예)29.5℃
  • 맑음29.7℃
  • 흐림제주27.3℃
  • 흐림고산23.8℃
  • 흐림성산24.1℃
  • 흐림서귀포23.7℃
  • 구름조금진주30.4℃
  • 맑음강화27.9℃
  • 맑음양평30.1℃
  • 맑음이천30.2℃
  • 맑음인제31.8℃
  • 맑음홍천31.6℃
  • 구름조금태백28.4℃
  • 맑음정선군32.6℃
  • 맑음제천29.4℃
  • 맑음보은29.9℃
  • 맑음천안29.9℃
  • 맑음보령27.7℃
  • 맑음부여30.5℃
  • 맑음금산31.0℃
  • 맑음30.2℃
  • 맑음부안30.0℃
  • 구름많음임실29.8℃
  • 구름조금정읍31.9℃
  • 구름조금남원30.7℃
  • 구름많음장수27.9℃
  • 구름많음고창군31.4℃
  • 구름조금영광군29.0℃
  • 구름조금김해시28.4℃
  • 맑음순창군31.1℃
  • 구름조금북창원31.2℃
  • 구름조금양산시30.5℃
  • 구름많음보성군27.8℃
  • 구름많음강진군28.9℃
  • 구름많음장흥27.6℃
  • 구름많음해남28.7℃
  • 구름많음고흥27.4℃
  • 구름조금의령군32.1℃
  • 구름많음함양군32.4℃
  • 구름많음광양시29.9℃
  • 구름많음진도군26.1℃
  • 맑음봉화29.0℃
  • 맑음영주29.9℃
  • 맑음문경30.8℃
  • 맑음청송군31.4℃
  • 맑음영덕26.5℃
  • 맑음의성31.6℃
  • 맑음구미32.0℃
  • 맑음영천30.8℃
  • 구름많음경주시32.7℃
  • 구름많음거창29.4℃
  • 구름조금합천31.9℃
  • 구름조금밀양32.0℃
  • 구름많음산청32.0℃
  • 구름많음거제27.8℃
  • 구름많음남해28.3℃
  • 구름조금28.7℃
약용작물, 제때 수확해 말려야 수량 많고 품질 좋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약용작물, 제때 수확해 말려야 수량 많고 품질 좋아

도라지, 작약 등 작물별 수확 시기와 건조 조건 제시

 

농촌진흥청은 약용작물 수량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작물별 알맞은 수확 시기와 건조 조건 등을 제시했다.

뿌리 부분을 활용하는 약용작물은 일반적으로 잎이 지고 생육이 멈추는 늦가을에 수확을 한다.

도라지는 식용으로 쓸 때는 일 년 내내 수확할 수 있지만, 약용으로 쓸 때는 심은 지 3∼4년 차에 지상부(윗부분)가 완전히 말라 죽은 후나 이른 봄께 수확해야 품질이 좋다.

작약은 종근(씨뿌리)을 아주심기 했다면 3~4년 차, 잔뿌리가 나오기 전인 9월 말~10월 말 사이 수확한다. 지상부가 일찍 말라 죽었다면 광합성 능력이 떨어져 수량이 더 늘지 않으므로 일찍 수확해 밭의 이용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더덕은 밭에 심은 뒤 2∼3년 차에 수확할 수 있다. 1개당 무게가 30∼50g 이상이 돼야 상품성이 있으므로, 뿌리 자람 상태에 맞춰 수확기를 정한다.

황기는 약용으로 쓸 때는 3년 차 늦가을에 잎과 줄기가 마르면 수확한다. 뿌리가 곧고 깊게 뻗어 괭이로 수확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3년생 이상일 때는 굴삭기를 활용한다.

삽주(백출)는 10월 말부터 잎과 줄기가 누런색으로 변했을 때 수확하는 것이 수량과 품질 측면에서 좋다.

수확한 약용작물은 흙과 잔뿌리를 없애고 되도록 빨리 건조, 가공해야 부패를 줄이고 약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를 사용할 때는 60도(℃) 이하에서 말리는 것이 좋다. 작물별 알맞은 건조 온도는 도라지, 황기 등은 40도(℃), 삽주는 50도(℃) 정도이다.

수확한 뒤 바로 건조, 가공하는 것이 힘들 때는 바람이 잘 통하고 비를 맞지 않는 곳에 작물을 보관한다. 작물에서 발생하는 호흡열이나 통풍 불량으로 품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에 신경 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윤영호 과장은 “약용작물은 수확 시기나 방법에 따라 생산량과 품질이 좌우되므로 올바른 수확과 건조 방법으로 생산량과 품질을 높여야 한다.”라고 전했다.

삽주를 재배하는 김대근 씨(경북 문경)는 “약용작물은 품목이 다양해 기본적인 재배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제때 수확하고 올바르게 건조해 고품질의 약용작물을 생산하겠다.”라고 말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