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 맑음속초14.8℃
  • 맑음15.0℃
  • 맑음철원17.1℃
  • 맑음동두천17.5℃
  • 맑음파주16.7℃
  • 맑음대관령5.9℃
  • 맑음춘천15.2℃
  • 맑음백령도15.6℃
  • 맑음북강릉14.4℃
  • 맑음강릉15.0℃
  • 맑음동해14.4℃
  • 맑음서울21.1℃
  • 맑음인천21.8℃
  • 맑음원주18.6℃
  • 흐림울릉도15.2℃
  • 맑음수원20.8℃
  • 맑음영월15.0℃
  • 맑음충주18.3℃
  • 맑음서산17.6℃
  • 맑음울진14.6℃
  • 맑음청주22.2℃
  • 맑음대전20.6℃
  • 구름많음추풍령17.2℃
  • 맑음안동16.2℃
  • 구름많음상주19.2℃
  • 맑음포항17.8℃
  • 맑음군산18.1℃
  • 흐림대구17.7℃
  • 맑음전주18.5℃
  • 구름조금울산16.3℃
  • 구름조금창원16.3℃
  • 맑음광주19.0℃
  • 맑음부산16.9℃
  • 구름조금통영17.3℃
  • 맑음목포18.8℃
  • 흐림여수18.1℃
  • 맑음흑산도16.6℃
  • 맑음완도16.6℃
  • 맑음고창17.4℃
  • 흐림순천15.9℃
  • 맑음홍성(예)20.3℃
  • 맑음20.2℃
  • 맑음제주19.1℃
  • 맑음고산17.9℃
  • 맑음성산19.0℃
  • 맑음서귀포19.8℃
  • 구름조금진주17.6℃
  • 맑음강화19.9℃
  • 맑음양평18.2℃
  • 맑음이천17.7℃
  • 맑음인제13.5℃
  • 맑음홍천15.6℃
  • 맑음태백8.1℃
  • 맑음정선군10.7℃
  • 맑음제천14.5℃
  • 구름조금보은18.0℃
  • 맑음천안19.3℃
  • 맑음보령17.0℃
  • 맑음부여19.0℃
  • 맑음금산17.8℃
  • 맑음19.5℃
  • 구름조금부안18.3℃
  • 구름많음임실17.2℃
  • 구름조금정읍18.6℃
  • 구름많음남원17.8℃
  • 맑음장수14.2℃
  • 구름조금고창군15.8℃
  • 맑음영광군16.6℃
  • 맑음김해시16.5℃
  • 구름많음순창군18.0℃
  • 구름조금북창원17.3℃
  • 맑음양산시17.6℃
  • 구름많음보성군19.2℃
  • 맑음강진군17.1℃
  • 구름조금장흥17.7℃
  • 맑음해남18.1℃
  • 구름많음고흥18.5℃
  • 구름조금의령군17.9℃
  • 구름조금함양군17.0℃
  • 흐림광양시17.6℃
  • 맑음진도군16.3℃
  • 맑음봉화10.8℃
  • 맑음영주14.0℃
  • 구름조금문경16.9℃
  • 맑음청송군12.2℃
  • 맑음영덕14.5℃
  • 구름많음의성17.3℃
  • 흐림구미18.9℃
  • 구름조금영천16.1℃
  • 구름조금경주시16.7℃
  • 구름조금거창16.2℃
  • 맑음합천18.9℃
  • 구름조금밀양18.6℃
  • 구름조금산청17.4℃
  • 구름조금거제17.2℃
  • 흐림남해17.6℃
  • 맑음17.5℃
일본업계, 첨단소재로 공세에 나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업계, 첨단소재로 공세에 나서

한국무역협회

 

[제호]일본 기업들이 반도체나 가전분야에서 예전의 기세를 잃어 가고 있는 가운데,전기자동차나 반도체 등 하이테크 분야의 첨단소재로 공세에 나서고 있다.

미중 경제마찰의 틈새에 있는 일본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첨단소재를 경제 안보상의 중요한 카드로 활용한다.

일본의 소재관련 산업은 수출 총액의 약 20%를 차지, 자동차와 대등한 국내 제조업의 핵심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60% 이상의 첨단소재 품목이 70개 종류에 달하고 있다.(2020년 경제산업성 자료)

토모(住友)금속광산은 전력제어에 사용되는 반도체기판 웨이퍼의 소재를 탄화규소(SiC)를 채택, 전력손실을 약 10% 줄이고, EV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다.

종이의 수요가 침체하고 있는 제지업계는 EV 소재를 개발하여 성장활로 모색을 본격화하고있다.

일본제지는 종이원료를 개량한 전지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의 생산 능력을 11월에 2020년도 대비 약 5배로 늘렸다.

오우지(王子)홀딩스(HD)는 자동차용 필름콘덴서 소재의 생산을 60% 늘리기로 결정했다.

반도체관련 등 첨단기술의 수출규제 등 미중 경제마찰의 격화 속에서, 일본은 첨단소재의 강점을 살려 공급망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가공분야에서 점유율이 높은 희토류를 외교의 수단으로 활용할 경우, 미·중에 끼여 있는 일본도 희토류 규제의 대상이 될 수도 있지만, 일본은 점유율이 높은 첨단소재를 희토류 규제의 견제 수단으로도 사용가능하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