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7 (금)

  • 구름조금속초18.0℃
  • 구름조금15.3℃
  • 구름조금철원15.6℃
  • 구름많음동두천15.8℃
  • 구름많음파주14.7℃
  • 맑음대관령7.5℃
  • 구름조금춘천15.5℃
  • 구름많음백령도17.0℃
  • 맑음북강릉17.0℃
  • 맑음강릉18.8℃
  • 맑음동해14.2℃
  • 구름조금서울18.9℃
  • 구름많음인천17.5℃
  • 구름조금원주16.1℃
  • 맑음울릉도16.7℃
  • 구름많음수원16.2℃
  • 맑음영월13.1℃
  • 구름조금충주15.5℃
  • 구름많음서산15.6℃
  • 맑음울진14.1℃
  • 맑음청주19.1℃
  • 구름많음대전16.8℃
  • 구름조금추풍령14.4℃
  • 맑음안동13.5℃
  • 맑음상주15.6℃
  • 맑음포항18.2℃
  • 구름많음군산15.3℃
  • 맑음대구16.8℃
  • 구름많음전주16.8℃
  • 박무울산16.1℃
  • 맑음창원17.2℃
  • 구름많음광주19.1℃
  • 맑음부산17.9℃
  • 맑음통영16.7℃
  • 흐림목포18.8℃
  • 구름많음여수18.1℃
  • 흐림흑산도17.9℃
  • 흐림완도17.6℃
  • 흐림고창16.4℃
  • 구름많음순천12.9℃
  • 구름많음홍성(예)15.7℃
  • 구름조금15.4℃
  • 구름많음제주19.2℃
  • 흐림고산17.6℃
  • 흐림성산18.2℃
  • 흐림서귀포19.4℃
  • 구름많음진주14.3℃
  • 구름많음강화17.0℃
  • 구름조금양평16.5℃
  • 구름조금이천16.2℃
  • 구름조금인제14.2℃
  • 구름조금홍천14.6℃
  • 맑음태백9.0℃
  • 맑음정선군13.0℃
  • 구름조금제천12.7℃
  • 구름조금보은14.5℃
  • 구름조금천안14.6℃
  • 구름많음보령15.4℃
  • 구름많음부여15.2℃
  • 구름조금금산14.0℃
  • 구름조금15.5℃
  • 구름많음부안15.8℃
  • 구름많음임실13.2℃
  • 구름많음정읍15.2℃
  • 구름많음남원15.3℃
  • 구름많음장수11.9℃
  • 흐림고창군14.8℃
  • 흐림영광군16.2℃
  • 맑음김해시16.5℃
  • 구름많음순창군15.9℃
  • 맑음북창원17.3℃
  • 맑음양산시16.2℃
  • 구름많음보성군17.0℃
  • 흐림강진군17.2℃
  • 흐림장흥16.6℃
  • 흐림해남16.9℃
  • 구름많음고흥15.9℃
  • 구름조금의령군14.2℃
  • 구름많음함양군13.2℃
  • 구름많음광양시16.8℃
  • 흐림진도군17.0℃
  • 맑음봉화10.2℃
  • 맑음영주12.3℃
  • 구름조금문경14.2℃
  • 맑음청송군10.4℃
  • 맑음영덕13.1℃
  • 맑음의성12.9℃
  • 맑음구미15.8℃
  • 구름조금영천15.4℃
  • 맑음경주시15.5℃
  • 구름조금거창12.5℃
  • 구름조금합천14.7℃
  • 맑음밀양16.5℃
  • 구름많음산청13.7℃
  • 구름조금거제15.7℃
  • 구름많음남해16.6℃
  • 맑음15.9℃
누에 사육 환경·생장 상태 원격 관찰한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누에 사육 환경·생장 상태 원격 관찰한다

농촌진흥청, 정보 통신 기술 ‧ 디지털 영상정보 기반 누에 사육시스템 개발

 

농촌진흥청은 누에 사육 환경을 제어하고, 누에 생장 상태를 원격으로 관찰할 수 있는 ‘ICT와 디지털 영상정보 기반의 컨테이너형 누에 사육시스템’(누에 사육시스템)을 개발했다.

누에 사육시스템은 누에 생육에 맞는 환경 조건을 조성하고, 내부에 설치된 환경 감지기(센서)로 온‧습도와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실시간 측정한다.

농가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카메라가 실시간 촬영한 누에의 행동 특성을 컴퓨터나 스마트 폰으로 관찰할 수 있다.

영상정보는 병든 누에를 검사해 찾아내거나 뽕잎 공급 시간을 결정하는 데 활용하고, 누에 대량 사육시스템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연구진은 누에 사육시스템을 양잠 시설의 현대화와 자동화를 위해 현재 연구 중인 뽕잎 자동 급이 장치와 잠분(누에 똥) 자동 처리 장치와도 연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누에 사육 과정 대부분을 노동력과 외부 환경에 의존하는 기존 누에 사육을 양잠 디지털 팜으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농업인구 감소, 고령화 등으로 위축되고 있는 양잠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생산비 절감, 품질 향상 효과도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특허출원을 완료하고, 한국산학기술학회 22호에 논문을 게재했다.

경북 영덕에서 누에를 사육하는 홍정표 농업인은 “온‧습도에 민감한 누에는 잠실 내부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 해줘야 한다.”라며 “품질 좋은 누에를 생산하기 위해 개발된 사육시스템이 현장에 빨리 보급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수확후관리공학과 이성현 과장은 “국내 양잠 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 제품과 식·의약용 소재 개발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라며 “누에 사육시스템을 발전시켜 양잠 디지털 팜 구축을 완성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