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속초28.3℃
  • 맑음17.5℃
  • 맑음철원16.8℃
  • 맑음동두천18.2℃
  • 맑음파주18.8℃
  • 맑음대관령15.2℃
  • 맑음춘천17.1℃
  • 맑음백령도21.5℃
  • 맑음북강릉24.5℃
  • 맑음강릉26.9℃
  • 구름조금동해26.2℃
  • 맑음서울22.0℃
  • 맑음인천21.0℃
  • 맑음원주20.1℃
  • 구름많음울릉도22.5℃
  • 맑음수원19.1℃
  • 맑음영월16.5℃
  • 맑음충주16.7℃
  • 맑음서산18.3℃
  • 흐림울진23.9℃
  • 맑음청주22.5℃
  • 맑음대전19.4℃
  • 구름조금추풍령19.6℃
  • 구름많음안동21.2℃
  • 구름많음상주21.7℃
  • 흐림포항23.4℃
  • 맑음군산19.1℃
  • 구름많음대구21.8℃
  • 맑음전주20.4℃
  • 구름많음울산19.3℃
  • 구름조금창원19.7℃
  • 맑음광주20.4℃
  • 맑음부산20.8℃
  • 맑음통영19.1℃
  • 맑음목포20.0℃
  • 맑음여수20.3℃
  • 맑음흑산도20.1℃
  • 맑음완도17.9℃
  • 맑음고창17.9℃
  • 맑음순천15.0℃
  • 맑음홍성(예)18.6℃
  • 맑음16.9℃
  • 맑음제주19.9℃
  • 맑음고산20.0℃
  • 맑음성산17.0℃
  • 맑음서귀포18.6℃
  • 구름많음진주18.1℃
  • 맑음강화21.3℃
  • 맑음양평17.7℃
  • 맑음이천19.1℃
  • 맑음인제16.4℃
  • 맑음홍천17.2℃
  • 구름조금태백17.8℃
  • 맑음정선군16.1℃
  • 맑음제천15.2℃
  • 맑음보은16.7℃
  • 맑음천안16.5℃
  • 맑음보령17.7℃
  • 맑음부여16.5℃
  • 구름조금금산16.9℃
  • 맑음17.7℃
  • 맑음부안18.3℃
  • 맑음임실16.5℃
  • 맑음정읍18.6℃
  • 맑음남원17.8℃
  • 구름조금장수14.9℃
  • 맑음고창군18.0℃
  • 맑음영광군18.6℃
  • 맑음김해시19.7℃
  • 맑음순창군17.8℃
  • 구름많음북창원20.9℃
  • 구름조금양산시19.9℃
  • 맑음보성군19.6℃
  • 맑음강진군17.3℃
  • 맑음장흥17.5℃
  • 맑음해남16.4℃
  • 맑음고흥16.0℃
  • 구름많음의령군18.1℃
  • 구름조금함양군16.3℃
  • 구름조금광양시19.6℃
  • 맑음진도군15.5℃
  • 구름많음봉화15.7℃
  • 맑음영주20.2℃
  • 맑음문경20.0℃
  • 구름많음청송군16.2℃
  • 구름많음영덕23.8℃
  • 구름많음의성17.9℃
  • 구름조금구미20.5℃
  • 흐림영천18.9℃
  • 흐림경주시19.2℃
  • 구름많음거창16.6℃
  • 구름많음합천18.1℃
  • 흐림밀양19.4℃
  • 구름많음산청17.8℃
  • 맑음거제18.2℃
  • 맑음남해18.5℃
  • 맑음19.2℃
[김연희 칼럼] 기억, 얼마나 믿을 수 있을까?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IT/교육/건강

[김연희 칼럼] 기억, 얼마나 믿을 수 있을까?

나는 가끔 엄마와 오래전 함께 겪었던 한 사건을 두고도 서로 다른 기억 때문에 실랑이를 벌이곤 했었다.

 

엄마의 말을 듣고 있노라면 마치 어제 일어난 일처럼 생생하게 느껴진다. 나 역시 주장을 꺾지 않고 팽팽히 맞서고 결국엔 엄마는 화를 참지 못하고 드러눕고야 만다. 나는 그때가 되어서야 사과를 하고 상황은 종료된다.

 

따지고 보면 누구의 기억도 정확하다고 할 수 없는데, 그때는 왜 그렇게 고집스럽게 우겼을까 싶다. 오기였을까? 내가 틀리지 않았음을 인정받고 싶었던 것일까?

 

기억.jpg

 

지금의 나라면 이런 상황에서 대부분 그래요. 당신 말이 다 맞습니다.”라고 하고 말았을 것이다. 말씨름을 싫어하는 개인적 성향 탓도 있겠지만 이제는 내가 알고 있는 사실을 다 믿지도 않고 정확한지 자신할 수도 없음을 알기 때문이다. 얼마든지 내 생각이 다를 수도 있음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다.

 

지금 내 머릿속에 있는 기억을 얼마나 믿을 수 있을까? 내 기억은 틀리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오해를 만들고 다툼을 불러온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된다. 왜 우리는 같은 상황에서 주고받은 대화를 시간이 지나면 각자 다르게 떠올리게 되는 걸까? 기억의 오류는 이것뿐만이 아니다.

 

몇 년 전 동해로 가족 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다. 내 머릿속에 저장된 동해 여행은 분명 가을이다. 가을 하늘, 바람, 바다로 각인되어 있는데, 최근에 여행을 다녀온 계절이 봄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계절까지 통째로 바꿀 수 있다니. 사람의 기억이란 있는 그대로 믿을 수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는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걸까? 작가 박지영의 저서 <기억은 변한다>에는 기억을 회상한 후 다시 저장하는 과정(재응고화)에서 정보의 삭제나 추가, 강조와 같은 변형이 일어난다. 그래서 우리의 기억은 재구성된 기억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사람의 기억은 다시 떠올릴 때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에 새로 보고 들었거나 자신의 상상까지 더하여 재구성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말이다. 이를 기억의 재응고화라고 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한다. 궁금증이 풀리면서 왜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게 되는지 이해를 해 본다. 사람이 이상한 게 아니라 애초에 그렇게 만들어진 뇌인 것이다. 매 순간을 영화처럼 기록해 놓을 수 있다면 처음부터 분란이 일어날 일도 없겠지만 불가능한 일이다. 언제든 내 기억과 생각이 온전하지 않음을 받아들이고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면 어떨까?

 

생각해 보면 말의 진실 여부를 두고 공방을 벌일 때가 많았다. 대부분 현재에 아무런 영향력도 미칠 수 없는 말 몇 마디를 두고 설전을 벌인다. 이미 각자의 머릿속에서 적당히 변형이 일어났을 기억을 두고 마음이 상해가면서 말이다. 그냥 지기 싫고 인정하기 싫은 것이다. 오늘 알게 된 것을 그때 알았더라면 좀 더 현명하게 대처하지 않았을까 싶다. 엄마가 그래 너 잘 났다.”라고 화를 내며 드러눕게 만들 일도 없었을 텐데 말이다.

 

그래요. 당신 말이 다 맞는 것 같아요.”

 

상대방을 가장 온화하게 이기는 방법이 아닐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